Drag

Get in touch dxe_home@cj.net

GET IN TOUCH

Insights & Trends 2025. 09. 17

소비자의 속마음을 읽는 DXE 데이터컨설팅팀

Blog Thumbnail

데이터가 들려준 세 브랜드 이야기


여러분은 혹시 ‘사람의 마음을 읽는 일’을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영화 속 장면처럼 상대방의 생각을 들여다볼 순 없지만,

DXE 데이터컨설팅팀은 소비자 검색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들의 고민과 생각을 읽습니다.

DXE 데이터컨설팅팀은 매일매일 소비자들이 직접 입력한 검색어들과

클릭, 그리고 반응 속 작은 신호들을 분석하며, 숫자 너머 행동에 남은 마음을 해석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데이터컨설팅팀 전략파트가 리스닝마인드 허블이라는 소비자 검색 데이터 솔루션을 활용해

세 가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인사이트를 어떻게 도출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떻게 마케팅 전략으로 풀었는지 간략히 전해드립니다.







1. 자동차보험 A사: 고객 여정으로 광고 효율 재정립

자동차보험 시장은 고착화된 환경과 가격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브랜드 A는 “검색 시작부터 계약 후까지 고객 니즈를 세밀히 이해할 방법은 없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자동차보험”과 “다이렉트 자동차보험” 키워드를 비교 분석하자, 소비자들의 검색 여정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요.

‘자동차보험’은 가격 → 비교 → 브랜드 순으로 이동하며 신규 고객 인지를,

‘다이렉트 자동차보험’은 브랜드 중심 → 비교 → 재확인으로 이어져 이미 자동차보험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 고객군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죠.

저희는 이를 바탕으로 5단계 고객 여정을 정의하고, 단계별로 정보성·비교·맞춤·결제·사후 메시지를 설계했습니다.

덕분에 단순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고객 중심 여정 기반의 전략으로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2. RTD 커피 B 브랜드: 후발주자가 찾은 성장 포인트

RTD 커피 시장 후발주자인 B 브랜드는 점유율 확대를 위해 리스닝마인드 허블로 3년치 검색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결과, 검색은 편의점 중심, ‘카페인 함량’, ‘디카페인’, ‘저당’ 등 기능성이 상위였고, 40~50대 여성 비중이 높았습니다.

반면, 탐색 단계에서 B 제품으로 바로 이어지는 검색어는 약했습니다. 스타벅스, 이디야 등과 자연스럽게 비교되며 건강과 가성비를 동시에 확인하려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뚜렷했죠.

이에 따라 소비자 검색 데이터를 통해 전략을 명확히 제시했습니다.

디카페인, 저당, 합리성을 강조하고, 탐색 초기 키워드 공략, 편의점 구매 연계 프로모션, 신뢰도 높은 4050 여성 인플루언서 활용으로 자연스러운 추천과 후기 콘텐츠를 확보하였습니다.

검색 데이터를 따라가며 브랜드는 성장 포인트를 정확히 짚을 수 있었습니다.







3. 골프 트래킹 디바이스 C: 한국 시장 진입을 위한 소비자 이해

브랜드 C는 해외에서 성공했지만, 한국 시장에는 아직 진입하지 않았습니다. 먼저 소비자가 어떤 고민과 필요로 장비를 찾는지 검색 데이터를 통해 분석했습니다.

결과, 골퍼들은 스윙, 퍼포먼스 측정, 집, 실내, 이동 환경 연습, 가격과 성능 비교 등 다양한 니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세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 정확한 데이터 중시, 편의성과 설치 용이성 중시, 가격과 후기 중심 구매 그룹이었죠.

이 인사이트로 브랜드 C는 기능 중심 키워드, 제품명 + 후기/추천/비교 키워드 연결, 비교 중심 고객의 자연스러운 관심 전환 전략을 설계했습니다.

해외에서 검증된 장비라도, 한국 시장에서는 ‘진짜 니즈’를 이해하는 것이 첫걸음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DXE 데이터컨설팅팀의 역할은 데이터와 사람 사이 다리를 놓는 일입니다.

그리고 저희는 소비자 검색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들의 숨겨져 있는 목소리를 듣고

이를 마케팅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우리는 한 줄 검색 데이터 속에서도 작은 신호를 놓치지 않고 분석하며,

소비자의 마음을 브랜드 메시지로 바꾸는 일을 즐겁게 이어가고 있습니다.